현대 사회에서 개와 고양이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단순한 애완 동물이 아닌 가족의 개념으로 받아 들이고, 예전이면 어려웠다고 생각하던 해외 여행을 같이 떠기를 희망한다. 그런데.. 지금보다 과거에 더 쉬웠던 시절이 있었던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이번에는 태국에 관련된 이야기를 해볼까 싶다. (다른 나라도 이 기준하고 대동소이한 경우가 대부분이다...만 광견병 청정국은 초강력한 규정들이 있으니 알아서 잘 살펴봐라. 호주/뉴질랜드/일본 정도는 최소 7~8개월 전부터 준비해야 한다.)
아래 내용은 2024년 3월 5일에 업데이트 된 규정을 기반으로 하며, 태국동물검역국(www.dld.go.th)과 태국 세관(www.customs.go.th/index.php?lang=en)의 규정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여행하기 전 아래 해당 기관에 자세한 사항을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우선 한국에서의 검역관련 기관들의 위치와 정보 확인해야 한다. 검역증 발급 가능한 기관별 연락처.
항목 | 각 지역 담당 전화 번호 |
개고양이 검역절차 (대분류,소분류) 국가별 검역조건 |
인천공항(화물청사) : 032-740-2680 인천공항(계류장) : 032-752-1280 인천공항T1(수출 휴대 애완동물) : 032-740-2660~1 인천공항T1(수입 휴대 애완동물) : 032-740-2671 인천공항T2(수출 휴대 애완동물) : 032-740-2028 인천공항T2(수입 휴대 애완동물) : 032-740-2021 김포공항 : 02-2664-2601 김해공항 : 051-971-1925 제주공항 : 064-746-0761 무안공항 : 062-975-6033 양양공항 : 033-672-3862 청주공항 : 043-263-4219 대구공항 : 053-984-5096 |
인천항 : 032-722-8238 부산항 : 051-600-0400 평택항 : 031-684-6397~9 군산항 : 063-460-9433 광견병항체검사 : 02-2650-0657 |
예방접종 및 건강증명서 - 별지 제25호서식 https://www.qia.go.kr/localFile/quar_certi.hwp 정부 공식 파일이 보기 뭐 같아서, 폰트랑 비율만 바꾼 파일 [doc/hwp/pdf down] 이건 평소에 다니던 동물 병원에 백신 기록 수첩 들고가서 영문으로 작성을 해야 한다. 열 흘만 유효하니, 출국 전 일주일 전후로 해서 작성하도록 한다. |
다음 링크와 내용들은 태국관광청에서 올린 오피셜 정보다.
태국관광청 : http://www.visitthailand.or.kr/thai/?c=1/Customs&uid=44 |
[ 출국 수속을 위한 순서 ]
반려동물과 같이 태국 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참고로 대한민국 여권 소지자는 관광목적으로 90일 동안 무 비자로 태국을 반려동물과 함께 방문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의 태국 입국, 출국 또는 통과시 반려동물의 마이크로칩 삽입이 의무화되어 태국으로 반려동물과 함께 여행하는 경우 반려동물의 마이크로칩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다음 사항이 기입된 서류를 준비합니다.
▶ 여행자 여권
▶ 여행자 한국 내 주소와 태국 내 주소
- 태국에서 묵을 숙소 주소랑 연락처 반드시 제출.
▶ 출국지 (공항 명) ㆍ반려동물과 함께하는 한국 출발 날짜와 태국에서 한국으로 돌아오는 날짜가 기입된 서류 (왕복항공권 사본) ㆍ반려동물 사진
- 무늬 있는 개체는 반드시 옷 벗기고, 얼굴 잘 나오는 정면 사진하고, 측면 좌우 사진 모두 준비해라.
▶ 반려동물 품종 증명서 (수의사 발행 Veterinary Certificate of Health): 나이, 품종, 성별, 크기, 종, 무게, 색 등이 명시
- 저 위에 파일 업로드 해놨음. 기관에서 만든 파일이 폰트부터 가독성 떨어지기에, 내용은 그대로고 포멧만 손봤음. 2025년에 hwp파일만 제공하는 꼬라지는 무엇이며... 워드/한글/PDF 모두 업로드. (조만간에 이걸 웹프로그램이나 엑셀로 짜볼까 생각중임.)
▶ 반려동물 백신 접종 증명서 (Veterinary Certificate of Vaccine) : 광견병 예방접종 증명서 (출발 최소 15일 전에 접종)
렙토스피라병 예방접종 증명서 (출발 최소 21일 전에 접종. DHPPL 종합백신에는 포함되어 있음.)
- 내 경험에 의하면 최소한 출국 두 달 전에는 위의 접종들을 마무리하고, 동물병원을 통하여 광견병 중화항체 검사를 받아야 한다. (동남아 정도 여행시에는 한국의 기관들을 통하여 증명서를 발급 받으면 되지만, 시간적 여유가 있고, 일본과 같은 광견병 청정국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미국의 연구기관을 통해서 증명서를 만들어야 마음이 편하다.)
- 국가에 따라서 심장사상충을 비롯한 내부/외부 기생충 관련 접종에 대한 내용도 추가 되어야 한다. (ex. 하트가드, 프론트라인, 레볼루션 등등)
DHPPL 종합백신 | ||
D | Distemper(Animal RDT) | 개 홍역으로 불리는 치명적인 디스템퍼 바이러스입니다, |
H | Hepatitis | 아데노 바이러스를 통한 전염성 간염입니다. |
P | canine Parainfluenza | 유행성있는 기침 폐렴 등을 파라믹소 바이러스입니다, |
P | canine Parvovirus | 심각한 장염을 일으키는 파보바이러스입니다. |
L | Leptospirosis |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열성 전신성 질환 |
수입허가요청 서류 (quar_certi.hwp)
◆ 검역증 발급 신청
예방접종증명서 및 건강증명서 등 필요한 검역증 발급에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반려동물(개·고양이)과 함께 공항만에 있는 농림축산검역본부 사무실에 방문하셔서 검역신청을 합니다. 검역관이 서류검사와 임상검사를 거쳐 검역증명서를 발급해 드립니다. 검역수수료는 10,000원/건입니다.
- 오후 비행기면 당일 오전에가서 만들어도 상관 없지만... 앞에 서류들이 부실하면 그 순간부터 지옥이다. 반드시 미리 미리 만들어라.
◆ 비행기 탑승
검역증명서를 발급받으신 후 선사·항공사 데스크로 가셔서 안내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애완견의 기내 탑승에 관하여는 이용하시려는 선사·항공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한여름 아니면 크레이트 안에다가 보온을 위해서 적당한 사이즈의 담요나 수건을 한두장 넣어주면 좋고, 추위에 약한 견종이면 차라리 얇은 옷이라도 한 겹 반드시 입혀라. (비행기는 영하 기온의 상공을 날아 다닌다. 따라서 비행기는 에어컨이 아닌 히터가 돌아가는 냉동실이다.)
- 화물로 들어가야 하면, 크레이트 출입문은 케이블타이로 2차 잠금을 반드시 하기를 권장한다.
- 항공사마다 한 비행기에 동시에 탑승 가능한 개체수 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다. 항공권 예매시에 동물 탑승에 대한 내용을 반드시 먼저 알려라.
- 비행기 탑승 시간이 4시간 넘어간다 싶으면 왠만하면 물병도 반드시 준비해야 좋다. 탑승시간이 길어질 것 같으면, 켄넬 내부 바닥에다가 양면 테이프로 배변패드를 한 장 붙여주면 좋다.
◆ 적정 켄넬 사이즈 및 선택
- 항공규정에 맞는 켄넬은 단순하게 제품의 크기만 따지는게 아니다. 정확하게는 개나 고양이가 일어서서, 내부에서 옆으로 돌아서 방향을 바꿀수 있어야 한다. 어거지로 기내에 반입하고 싶다고, 작은 사이즈 켄넬을 선택하면 항공사에 따라서 탑승 거부를 하는 경우도 있음을 알아둬야 한다.
- 국내선 아니면 무조건 Crate(켄넬)은 하드케이지로 항공 규격 제품으로 구입해라. (추천제품 : 펫메이트 바리켄넬, MPS 스도쿠, 펫모드 스카이켄넬 정도 추천함. 다른 브랜드..? 글쎄... 툭하며 손잡이 망가지는 브랜드 많다.)
- 소프트 켄넬은 절대적으로 추천하지 않는다. 지퍼라도 망가지면... 그리고 생각보다 지퍼 잘 열린다. -_-;
*반려동물 반입에 대한 설명은 아래 내용을 참조해 보시고 더 자세한 문의는 안내되어 있는 각 해당 기관으로 직접 하시면 됩니다.
위 내용들을 종합하여 다음 절차들을 추가로 진행해야 한다.
1 | 상단에 기입된 서류들을 스캔, 첨부파일로 태국 DLD (국립축산국 Department of Livestock Development) 이메일 주소로 qsap_bkk@dld.go.th (방콕) / qscm_cmi@dld.go.th (치앙마이) / qshk_hkt@dld.go.th (푸껫)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 | 이메일을 보낸 후 태국 +66 2-134-0731, +66 2-134-0732(방콕) +66 53 892 453 (치앙마이) / +66 76 351 514 (푸껫) 로 전화하여 이메일 수신 여부를 확인합니다. |
3 | 준비된 서류들을 확인한 태국 DLD(국립축산국)에서 수입허가서(Import Permit Form)를 여행자에게 발송해줍니다. |
4 | 여행자는 태국 DLD 에서 받은 수입허가서를 작성합니다. (※동물 반입 수입 허가서는 60일 유효기간이 있으니 허가서를 발급 받고 60일 안에 태국을 입국해야 합니다.) |
5 | 4번에서 작성한 수입허가서와 1번의 원본 서류들을 가지고 태국으로 출발 하기 전 한국 내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예: 인천공항 3층 F카운터 뒷편에 위치한 농림수산 검역검사본부 032- 740-2631) 을 방문하여 검역 신청 하시면 서류검사와 임상검사를 거쳐 이상이 없을 경우 검역 증명서(※주의: 발부일자로부터 10일간만 유효)를 발부 받습니다. |
6 | 상단의 원본서류와 4번의 수입허가서, 5번의 검역 증명서 관련 서류 가지고 태국 국제공항에 도착하면 동물관리국(Animal Control Office) 에 제출합니다. 신청비가 부가되며 보증서 및 보증금을 같이 제출하여야 합니다.(예: 방콕 수완나품 국제공항은 수하물 8번 벨트에 위치한 동물 관리국 사무소에 연락하여 담당자로부터 반려동물 확인서를 발급받고. 반려동물을 찾은 후 공항을 나올 수 있습니다.) |
7 | 한국으로 출발할 때 여행자는 여권과 광견병 예방접종 증명서를 준비해야 합니다. - 광견병 예방 접종 절차 증명서 Certificate of Rabies Vaccination Procedure 1) 여행자는 출발일 3일 전까지 수출 허가 신청서를 제출하고 동물 검역소 Animal Quarantine Station (AQS)에 애완 동물을 건강검진을 위해 데려가야 합니다. 2) 여행자는 동물 검역소 (AQS)에 여권, 광견병 예방접종 증명서 서류와 반려동물을 제시합니다. 검역소에서는 태국 국제 공항 도착 시 동물 관리국 사무소를 방문하여 신고한 태국을 입국했던 동일한 반려동물인지 확인합니다. 3) 동물 검역소의 수의사가 문서 검사 및 동물 건강 검진을 완료하면 승객에게 수출 허가증과 건강 증명서를 발급합니다. 이 증명서는 목적지 국가의 관련 부서에 제시해야 합니다. ※ 수완나품 AQS는 수완나품 공항 화물 통관 세관의 CE-1 빌딩 1층, 자유 구역에 있습니다. |
여기 까지는 누구나 확인하는 부분이고, 각 국가에 따라서 강아지나 고양이의 연령에 따라서 검역 기준이 다른 경우도 있고, 그 밖에 다른 상황들에 맞춰서 확인을 해야하는 경우들도 있다. 그래서 이미 알고 있는 정보여도 다시금 태국의 '동물개발국(Department of Livestock Development, Bangkok)'로 연락을 해봤다. 국가에 따라서 입국일 기준으로 연령(90일 이하)에 따라서 조건이 다른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Dear Sir/Madam, - 안녕하세요. I have read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ourism Authority of Thailand. However, I am writing to seekclarification on certain details. http://www.visitthailand.or.kr/thai/?c=1/Customs&uid=44 I am planning to travel from Korea to Thailand with my Giant Schnauzer puppy(8~12week)&adult(over12month) dog. Additionally, I would like to occasionally send dogs bred in Korea to my friend living inBangkok. I would greatly appreciate detailed responses to the following questions: - 태국 관광청에서 제공한 정보를 읽었습니다. 그러나 몇 가지 사항에 대해 더 명확히 알고 싶어 이렇게 문의드립니다. http://www.visitthailand.or.kr/thai/?c=1/Customs&uid=44 저는 한국에서 태국으로 저의 자이언트 슈나우저 강아지(8~12주)와 성견(12개월 이상)을 데리고 여행할 계획입니다. 또한, 가끔 한국에서 번식한 강아지를 방콕에 살고 있는 친구에게 보내고자 합니다. 아래 질문들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1. **Rabies Vaccine Titer Test Standards:** Are the same conditions applied to dogs of all ages, or are theredifferent standards for dogs under 90 days old and those over 90 days old? - 광견병 백신 항체가 검사 기준: 모든 나이의 강아지에게 동일한 조건이 적용되나요, 아니면 90일 미만의 강아지와 90일 이상 강아지에게 다른 기준이 있나요? 2. **Comprehensive Vaccination in Korea (DHPPL):** Does it suffice if Leptospirosis is included in the DHPPLvaccine, or does it need to be administered separately? (D: Canine Distemper, H: Infectious Hepatitis, P:Parvovirus, P: Parainfluenza, L: Leptospirosis) - 한국에서의 종합 예방 접종(DHPPL): DHPPL 백신에 렙토스피라증이 포함되어 있으면 충분한가요, 아니면 별도로 접종해야 하나요? (D: 개 홍역, H: 전염성 간염, P: 파보 바이러스, P: 파라인플루엔자, L: 렙토스피라증) 3. **Minimum Age for Importation:** What is the minimum age for dogs to be imported into Thailand? Thank you for your time and assistance. - 최소 수입 나이: 태국으로 수입될 수 있는 강아지의 최소 나이는 얼마인가요? Best regards, |
그리고 돌아온 답변 메일. 자세하게 읽어보자.
첫번째 질문의 답.
- 모든 나이의 강아지에게 동일한 조건이 적용됩니다. 검사는 탑승 24개월 이전에 국제적으로 승인된 기관에서 실시해야 하며, 혈청 내 광견병 바이러스 중화 항체 수준이 0.5 IU/ml 이상이어야 합니다.
+ 보통 광견병 백신을 한 달 간격으로 2번 정도 연속 접종. 혹은 이전 접종하고 1년 이내 상태라면 추가 접종 1회후 3주일 정도 지나면 충분하게 확인 가능한 수치다.
두번째 질문의 답.
- 종합 백신에 이미 렙토스피라증 백신이 포함되어 있다면, 추가로 접종하지 않아도 충분 합니다.
+ 일반적으로 백신류의 추가 접종은 3년에 한 번이면 충분하다. 하지만 살아있는 생물이 세관을 통관하기 위해서는 근거 자료가 필요하고, 그런 의미에서 해외 여행을 같이 다니고 싶다면 1년에 한 번은 추가로 접종해주는 것이 좋다.
세번째 질문의 답.
+ 내 경우에는 수출 과정으로 어린 강아지만 화물로 실어 보내는 경우들이 있어서 이런 질문을 했다. 태국으로 수입 가능한 개의 최소 연령은 어떻게 되는가?
- 최소 4개월령이 넘어야 한다.
쉽게 이야기해서 태국의 경우에는 90일 이하의 강아지라고 할지라도 광견병에 대한 기준은 동일하게 적용한다는 이야기가 된다. 이걸 또 왜 언급하냐면... 이런 법령은 상호 동일 규정이 아니어서 이런 규정이 적용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농림축산검역본부- 개고양이 검역절차 [태국→한국] https://www.qia.go.kr/livestock/qua/livestock_outforeign_hygiene_inf.jsp 생후90일 이상인 개∙고양이 - 마이크로칩을 이식하여 개체 확인이 되고 광견병 중화항체가0.5IU/ml 이상인 경우: "당일" - 마이크로칩을 이식하지 않은 경우: 마이크로칩 이식완료일 까지 - 광견병 중화항체검사를 하지 않은 경우: 광견병 예방접종 후 중화항체가가0.5IU/ml 이상 확인일 까지 - 광견병 중화항체가가0.5IU/ml 미만인 경우: 중화항체가가0.5IU/ml 이상 확인일 까지 - 마이크로칩 이식과 광견병중화항체검사를 하지 않은 경우: 마이크로칩 이식과 광견병예방 접종 후 중화항체가가0.5IU/ml 이상 확인일 까지 생후90일 미만 또는 광견병 비발생지역산 개∙고양이 - 마이크로칩을 이식한 경우에는 당일 개방 - 마이크로칩을 이식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마이크로칩 이식이 완료일 까지, 태국의 경우에는 광견병 발생국가이기에, 90일령 이하여도 광견병 백신 접종하고 2~4주후에 광견병 중화항체 검사를 받아서 통과 해야함. 광견병 중화항체 수준: 0.5IU/㎖. - 광견병 최적 접종이면, 1차 45일령, 2차 60일령, 검사 75일~90일령 정도에 받아서, 검사 결과 나오면 바로 수입 진행. |
태국 동물개발국에서 답변한 이메일에 딸려온 파일들이다.
정 어려우면 -_- 포기하거나, 혹은 비싸도 대행업체들이 있다.
한 달 이상 다녀올 것 아니면, 한국에서 호텔링 서비스 이용하는게 더 안전하고 편할지도 모른다.
특히 현지 숙소들이 처음에는 개/고양이 입실 가능하다고 하다가, 막상 사람 도착하면 추가금 이야기 하거나, 혹은 말도 안되는 보증금을 요구하고, 말도 안되는 억지로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는 경우들도 많다.
해외여행이라 적어두고, 무슨 셀프 최저가 패키지로 다닐 입장이면... 절대로 개 데리고 출국하는건 상상으로도 하지 말자. 긴급 상황이라 동물병원 가면, 최소 한국의 두 배 이상 청구서 나온다.